홈페이지 SSL 보안 인증서란?

목차
SSL (Secure Sockets Layer)
SSL 보안 서버의 정의
SSL (Secure Sockets Layer)은 데이터 통신의 보안과 안전성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SL 보안 서버는 이러한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는 주로 TLS (Transport Layer Security)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SSL’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주소가 http:// 로 시작하면 SSL 보안 서버가 적용되지 않은 것이며, https:// 로 시작하면 SSL 보안 서버가 적용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브라우저 상단의 주소 앞 부분에 나타나는 아이콘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면 SSL 보안 인증이 적용된 사이트를 의미하며, 주의 요함 문구와 경고 아이콘이 표시되면 SSL 보안 인증이 적용되지 않은 사이트입니다.
필수 적용사항
SSL 인증서 구입 및 설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SSL 인증서는 보안 연결을 확립할 때 필요한 열쇠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SSL 인증서를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으로부터 구입해야 하며, 웹 서버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먼저, SSL 인증서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인증기관에서 발급받아야 합니다. 다양한 제공업체가 있으며, 가격과 기능을 비교하여 적합한 SSL 인증서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필요한 정보와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인증기관은 주로 도메인 소유 확인 및 신원 검증 절차를 거친 후에 SSL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이후, 발급된 SSL 인증서 파일을 웹 서버에 설치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호스팅 공급자들은 SSL 인증서의 설치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자체적인 관리 도구나 패널을 통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가 성공적으로 설치되면, 웹 사이트는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합니다. HTTPS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암호화된 연결을 통해 정보의 안전성과 기밀성을 보장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페이지에 SSL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모든 페이지에 SSL 인증서를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안이 필요 없는 페이지와 혼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웹 사이트 내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개인정보 등 중요한 정보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됩니다.
비용
SSL 인증서의 비용은 다양한 인증 기관 및 인증서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메인 확인만 하는 DV(Domain Validated) 인증서는 가장 저렴한 가격대에서 제공됩니다. 조직 정보도 확인하는 OV(Organization Validated) 인증서는 DV 인증서보다 비용이 더 높을 수 있으며, 확장된 검증을 수행하는 EV(Extended Validation) 인증서는 가장 높은 가격대에 속합니다.
또한, SSL 인증서의 기간도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긴 기간 동안 유효한 SSL 인증서일수록 더 비싼 경향이 있습니다.
요즘은 호스팅 업체에서 특정 호스팅 구매 시 SSL 보안인증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추가 비용 없이 SSL 보안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시장에는 연간 2만원부터 100만원 초반까지 다양한 가격과 기능을 갖춘 보안 상품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상담하여 실질적인 요구사항과 예산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중요한 점은 실속있고 안정적인 업체에서 SSL 인증서를 구입하고 이용하는 것입니다.
주의사항
SSL 인증서를 사용하는 경우, 몇 가지 추가적인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SSL 인증서는 유효 기간이 있으므로 만료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갱신해야 합니다. 만료된 인증서는 웹 사이트의 보안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기에 갱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웹 사이트의 필요에 맞는 적절한 유형의 SSL 인증서를 선택해야 합니다. DV(Domain Validated), OV(Organization Validated), EV(Extended Validation) 등 다양한 유형의 SSL 인증서가 있으며, 보안 요구사항과 예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셋째, 민감한 정보 전송 시에만 SSL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웹 사이트 전체에서 SSL을 활용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페이지에서도 SSL 보안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위의 조치들은 웹 사이트에서 지속적인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에 보안 조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회원가입이 적용된 커뮤니티나 쇼핑몰과 같은 웹사이트는 개인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해당 법률의 적용 대상입니다.
법률에서는 이러한 웹사이트에서 보안 조치로 SSL 인증서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SSL 인증서는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와 안전성을 제공하여 개인정보 유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가 보안 서버를 구축하지 않아 법령을 위반한다면, 관련 기관은 행정처분으로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는 최대 3천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으며, 기타 필요한 조치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웹사이트는 법적 요구 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SSL 인증서와 같은 보안 서버 구축에 신경써야 합니다. 이로써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보호와 법적 규제 준수에 도움이 됩니다.
구글정책
Google은 웹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HTTPS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HTTPS는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와 안전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글은 HTTPS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를 검색 결과에서 더 우선시하며, HTTPS를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기도 합니다.
HTTPS 사이트의 우선순위 부여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구글은 안전한 웹 환경 조성을 지원하기 위해 HTTPS 사이트에 대한 검색 순위 상승 요소로 고려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검색 결과에서 더 높은 가시성과 트래픽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Chrome 브라우저는 보안 연결(HTTPS)이 아닌 경우 위치 확인 기능(Location API)에 접근할 수 없게 됩니다. 이는 Chrome 브라우저에서 HTTP 사이트가 위치 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기능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SSL 보안 서버와 HTTPS 프로토콜의 사용은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뿐만 아니라 검색 엔진 최적화(SEO) 측면에서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요구사항과 정책들을 고려하여 웹사이트 운영자들은 SSL 인증서를 구입하고 설치하여 모든 페이지에 HTTPS를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ments are closed.